1303 |
84집 강경완 어법분석을 통한 유의어 기술의 예: 「改善」과 「改良」의 경우
 |
관리자 |
07-17 |
8362 |
1302 |
84집 김명주 노사카 아키유키(野坂昭如)와 ‘천황’ 표상: 『인칭대명사(人稱代名詞)』를 중심으로
 |
관리자 |
07-17 |
8341 |
1301 |
84집 전은영 오가와 미메이(小川未明)의 ‘어린이관’ 고찰
 |
관리자 |
07-17 |
8463 |
1300 |
84집 김서은 NHK 드라마에 서사된 격동기 일본과 여성의 역할 연구:
 |
관리자 |
07-17 |
8575 |
1299 |
84집 김우봉 일본 히키후다(引き札)에 있어서 二宮金次郞 삽화의 상징성 연구
 |
관리자 |
07-17 |
8627 |
1298 |
84집 원지연 일본 상징천황제와 전후민주주의의 딜레마: 생전퇴위문제와 관련하여
 |
관리자 |
07-17 |
8477 |
1297 |
84집 유재연 이마무라 쇼헤이(今村昌平)의 《복수는 나의 것(復讐するは我にあり)》
 |
관리자 |
07-17 |
8536 |
1296 |
84빕 임다함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사회교화 영화정책과 ‘변사’:
 |
관리자 |
07-17 |
8338 |
1295 |
83집 김행영・윤강구 비즈니스 일본어에서 요구되는 콘텐츠
 |
관리자 |
05-03 |
8419 |
1294 |
83집 손영석 한국어 자막과 멀티미디어 코퍼스를 활용한 일본어교육 방안
 |
관리자 |
05-03 |
8516 |
1293 |
83집 井ノ上佐織 韓国人上級日本語学習者の作文における結束性の考察
 |
관리자 |
05-03 |
8574 |
1292 |
83집 鄭潤静 日本語作文教育の可能性を求めて: 小学校の国語教科書の分析を中心に
 |
관리자 |
05-03 |
8512 |
1291 |
83집 이덕배・이연희 70・80대 한국인의 일본식 한자어 사용실태 및 인식
 |
관리자 |
05-03 |
8439 |
1290 |
83집 최정희 한국 대학생의 ‘간지나다’ 사용 양상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
 |
관리자 |
05-03 |
8486 |
1289 |
83집 康志賢 万延期以降の<膝栗毛もの>作品群における書目年表稿
 |
관리자 |
05-03 |
8417 |